본문 바로가기
경영업무/공공입찰계약

공공계약과 입찰의 정의 입찰과 낙찰 방식의 종류는?

by 靜)태평어람 2025. 4. 3.
반응형


 



공공기관이나 대학에서 계약을 하기 위해서는 공공계약이라는 개념과 그 방식인 입찰, 다양한 입찰 방법과 낙찰방식에 대해서 반드시 알아야 합니다. 과연 어떤 내용들이 포함되어 있을까요?

 

오늘은 공공계약과 입찰의 정의 입찰과 낙찰 방식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볼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1. 공공계약의 정의와 특징

우선, 공공계약이란 Public Procurement라고도 하며 정부나 공공기관이 재화, 용역 또는 공사를 조달하기 위해 민간 기업과 체결하는 계약을 말합니다.

 

예로 정부가 도로를 건설한다거나, 컴퓨터 같은 물건을 구입한다거나, 소프트웨어 등 보안 서비스를 이용할 때 이를 이를 공급하는 기업과 맺는 계약이 바로 공공계약입니다.

 

그럼 특징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 바로 공정성과 투명성을 확보해야 합니다.(공정한 경쟁이 원칙인 것이죠.)
  •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예산을 사용합니다.
  • 입찰을 통해 계약 상대방을 선정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대학들이 계약을 하는 경우에도 교비 집행을 위와 같은 방식으로 진행합니다. 공정성과 투명성 확보를 위해 경쟁에 붙이고, 입찰을 통해 계약 상대방을 선정하는 것이죠. 그리고 국가계약법을 준용하여 사용하게 됩니다.

2. 입찰의 정의와 절차

입찰이란 Bidding이라고 표현하며, 공공기관이 특정 재화나 용역을 구매할 때 여러 업체가 경쟁하여 가장 유리한 조건을 제시하는 업체를 선정하는 절차를 말하는 것이죠.

 

주요 절차

  • 입찰 공고: 공공기관이 필요한 사업을 공개적으로 알림
  • 입찰 등록: 참가를 원하는 기업이 서류를 제출하고 등록
  • 입찰 진행: 제안서 제출 및 가격 경쟁
  • 낙찰자 선정: 가장 적절한 조건을 제시한 업체를 선정
  • 계약 체결: 낙찰자가 공공기관과 계약을 맺고 사업을 수행

하는 절차를 말합니다.

3. 입찰 방식과 낙찰방식은?

입찰하는 방식에는 어떤 방식들이 존재할까요.

  • 일반경쟁입찰: 모든 기업이 자유롭게 참여 가능, 공정성이 높지만 절차가 길고 복잡함
  • 제한경쟁입찰: 특정 조건을 충족한 기업만 참여 가능, 가령 기술력이 일정 수준 이상인 기업만 참여 제한
  • 지명경쟁입찰: 공공기관이 직접 몇 개의 업체를 선정 입찰, 경쟁이 제한적일 수 있음
  • 수의계약: 특정한 사유로 인해 경쟁 입찰 없이 1개 업체와 직접 계약, 긴급한 경우 특수한 기술 필요시 사용

마찬가지로 낙찰방식에는 어떤 방법들이 있을까요?

  • 최저가 낙찰제: 가장 낮은 가격을 제시한 업체 선정, 단순 물품구매에 주로 사용, 단 현재는 순수한 의미의 최저가 낙찰제는 폐지되었고, 별도 낙찰하한율을 사용하는 제한적 최저가 낙찰제를 운용함
  • 종합평가 낙찰제: 가격뿐만 아니라 기술력, 품질, 경험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함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의 낙찰방식이 존재하지만, 우선 간단한 개념정리를 위해 위의 방식만 소개하겠습니다.

 

4. 마치며

계약을 진행하고 업체를 선정하기 위해서는 공공계약의 개념과 입찰에 대한 정의, 입찰 방식, 낙찰 방식에 대한 이해와 정리가 필요하게 됩니다. 위의 개념들이 간단한 내용정리지만 우선 잘 알아두고 공부해 나가는 자세가 필요해 보입니다.


 

이상으로 공공계약과 입찰의 정의 입찰과 낙찰 방식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이상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