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의계약2 수의계약과 검사검수의 뜻과 의미와 검수조서란? 공공기관과 지방자치단체에서 계약업무를 담당하거나 업체와 거래를 하는 분들이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핵심 개념들이 있습니다. 바로 수의계약, 검사검수 그리고 검수조서를 말하는 것인데요. 계약의 과정 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부분들이기 때문에 필수적으로 잘 기억해야 하는 용어들입니다. 과연 어떤 의미들이 있는 것일까요? 오늘은 수의계약과 검사검수의 뜻과 의미와 검수조서란에 대해서 알아볼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1. 수의계약이란? 뜻과 의미 정리수의계약이란 경쟁입찰을 거치지 않고, 발주기관이 특정 업체와 직접 계약을 체결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보통은 입찰을 통해 공정성과 투명성을 확보하지만, 아래와 같은 경우에는 수의계약이 가능한 것이죠.(발주자의 의견에 따라 임의로 상대방을 선정하는 계약) 긴급한 상황으로 .. 2025. 8. 18. 공공계약과 입찰의 정의 입찰과 낙찰 방식의 종류는? 공공기관이나 대학에서 계약을 하기 위해서는 공공계약이라는 개념과 그 방식인 입찰, 다양한 입찰 방법과 낙찰방식에 대해서 반드시 알아야 합니다. 과연 어떤 내용들이 포함되어 있을까요? 오늘은 공공계약과 입찰의 정의 입찰과 낙찰 방식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볼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1. 공공계약의 정의와 특징우선, 공공계약이란 Public Procurement라고도 하며 정부나 공공기관이 재화, 용역 또는 공사를 조달하기 위해 민간 기업과 체결하는 계약을 말합니다. 예로 정부가 도로를 건설한다거나, 컴퓨터 같은 물건을 구입한다거나, 소프트웨어 등 보안 서비스를 이용할 때 이를 이를 공급하는 기업과 맺는 계약이 바로 공공계약입니다. 그럼 특징에는 무엇이 있을까요?바로 공정성과 투명성을 확보해야 합니다.(공정한 .. 2025. 4. 3. 이전 1 다음